본문 바로가기

맨날 술이야 휘청!! 대한민국

대한제국 국새,사라진 대한제국 국새 발견... 현존 유일 조선 국새

대한제국 국새,사라진 대한제국 국새 발견... 현존 유일 조선 국새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한제국 고종황제가 친서에 사용한 국새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는 현존하는 유일한 대한제국시대 국새이자 단 한 점도 실물이 남아있지 않다고 보고된 조선왕조의 유일한 국새이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국외반출 중요우리문화재에 대한 유물구입을 통해 지난해 12월 소장하게 됐다”며 “국사편찬위원회 소장자료에 사진으로만 전해지던 분실된 국새의 실물이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국새는 외함이 분실되고 내함만 남아있는데 내함은 전체높이 4.8cm, 무게는 794g이다. 손잡이는 거북형이며, 비단실로 짜여진 끈이 달려있다. 내함은 황동(黃銅)의 재질로, 2단으로 되어 하단에는 인주(印朱)를 넣을 수 있도록 돼 있고, 그 윗단에 국새를 넣는다. 성분분석결과, 거북형손잡이는 은과 금의 비율이 81:18이며, 몸체는 57:41의 비율로 은이 많이 사용돼 손잡이와 몸체가 따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정사각형의 인장면에는 ‘皇帝御璽(황제어새)'라 양각돼 있다.  국새의 글씨 중 황제의 ’皇‘은 ’白‘의 아래에 ’王‘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어새에서는 ’自‘의 아래에 ’王‘으로 표기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 확인된 국새에 대한 제작기록은 보이지 않으나 “문화각(文華閣)의 옥새와 책문(冊文) 등을 보수하도록 하다”라는 고종실록의 기록(광무5년 11월 16일)으로 미루어 1901~1903년 사이에 제작돼 1903년에 이태리황제에게 보낸 친서 등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공문서에는 ‘대한국새’ ‘황제지보’ 등이 사용되는데 이 국새는 친서에 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비밀리에 제작돼 고종황제가 직접  소지하고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박물관 측은 “원래 국새는 상서원에서 관리하는 것이 상례이나, 황제가 이 국새를 직접 소지하고 관리한 점은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이나 긴장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고종황제가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프랑스 황제에게 보낸 10여통의 친서에 사용한 황제어새는 두 종류가 확인되고 있는데, 하나는 1903년 이탈리아 황제에게 보낸 친서 등에 사용된 것으로 글씨체가 둥글고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다른 하나는 1906년 러시아 황제 등에게 보낸 친서 등에 사용된 것으로 글씨체가 각이 지고 반듯한 분위기이다. 현재 원본은 남아있지 않고 유리원판 사진만 남아있는 상태이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이 국새에 대하여 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신청을 하고, 향후 일반시민들에게 특별공개할 예정이다. 또 덕수궁 석조전의 대한제국실이 복원되면 고종관련 자료 전시에 활용할 계획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